• 보유하고 있는 서열의 ORF 식별 후, protein 서열로 translation 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조회 1193 2021. 01. 22 - Classical Sequence Analysis | Nucleotide Analysis | Find Open Reading Frames Tool의 output options을 모두 선택하여 실행시켜 주시면, input으로 넣었던 서열에 ORF가 추가 annotation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ORF가 추가 annotation된 서열을 Classical Sequence Analysis | Nucleotide Analysis | Translation to Protein Tool의 인풋으로 넣으셔서 분석을 진행하시면, 해당 ORF 서열의 protein 서열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 보유하고 있는 서열의 GC content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조회 1287 2021. 01. 20 - Classical Sequence Analysis | General Sequence Analysis | Create Sequence Statistics Tool의 아웃풋 레포트를 참고하시면 원하시는 GC content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HGMD 데이터베이스는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 되나요? 조회 1231 2021. 01. 20 - HGMD는 분기별로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HGMD를 이용하시면 항상 최신 변이 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HGMD와 ClinVa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조회 1314 2021. 01. 20 - HGMD는 논문에 모두 게재된 질병 관련 변이정보 데이터베이스인 반면 ClinVar는 사용자가 논문에 게재된 여부와 관련 없이 제출한 모든 변이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따라서 HGMD는 논문을 통한 리뷰어의 큐레이션 과정을 진행하여 더 신뢰할 수 있는 질병 관련 변이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CLC Genomics Workbench에서 Nanopore 데이터 trimming & filtering은 어떻게 진행하나요? 조회 1433 2021. 01. 11 - Nanopore 데이터의 경우 자체적으로 QC 통과가 된 서열이라는 전제하에 Quality trimming 부분에서의 파라미터를 모두 해제하고, read length 필터링에서만 500bp 이하인 것들을 제거하여 진행하면 된다는 본사 기술팀으로부터의 조언에 따라 read length 필터링에서만 500bp 이하인것들을 제거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전체 323개 중 5개 표시
  • 이전 페이지
  • 1
  • ...
  • 29
  • 30
  • 31
  • ...
  • 65
  • 다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