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관리는 급변하는 21세기 조직환경의 화두입니다. 어떻게 지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느냐는 그 조직이 어떠한 지식관리 환경을 갖추고 있는가에 달렸습니다. KM사업부는 연구자들이 오랜 시간 다양한 정보를 축적하고 다듬어야 그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생명과학 분야의 지식관리를 위한 Web 2.0 기술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RESTful 위키엔진 GLTER와 연구용 지식관리 플랫폼 LabKM을 기반으로 고객의 소중한 정보와 경험이 언제, 어디서나 작성되고 검색되는 지식 프레임워크를 공급합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자료의 축적이 아닌 지식이 되도록 도와드립니다.
잃어버릴 수는 있어도 잊어버릴 수는 없습니다. KM사업부가 귀하의 소중한 경험과 역사를 지식으로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LabKM을 통해 실험실의 연구환경이 보다 진화합니다.
위키 웹사이트는 기본적으로 협업에 대한 신뢰의 원칙 위에서 운영됩니다. 위키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위키화된 웹 사이트의 컨텐츠를 편집하려는 방문자들을 허용합니다. 방문자들 역시 새로운 컨텐츠를 만들거나 기존 컨텐츠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키에 기고한 사람들은 언제라도 자신이 수정하기 전의 웹 페이지와 수정 후의 내용들은 다른 가입자들이 보는 것처럼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LabKM이 보다 체계적인 연구환경을 만들어 드립니다.
현재의 지식정보를 보다 체계화하고 이러한 기반 위에 다양한 지식정보의 창출, 지식정보의 활용 극대화를 위한 상호 지식 교류의 장(네트워크)을 구축합니다.
연구지식에 경험을 더해 보다 지혜로운 판단으로 나아갑니다.
Data |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갖지 않고 존재하는 것으로서 식별 및 기록이 가능한 업무적 사실 등으로 규정됩니다. |
---|---|
Information | 관계에 따라 의미가 부여되는 data입니다. 의미 있게 구조화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합니다. |
Knowledge | 유용한 일련 정보의 집합이며, 결정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정보를 의미 있게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
Understanding | 직관적(cognitive)이며 분석적(analytical)인 것으로 Knowledge를 이용하여 이전의 Knowledge로부터 새로운 Knowledge를 도출하는 프로세스입니다. |
Wisdom | 올바른 결정이나 판단을 하게하는 Knowledge와 Experience가 축적된 상태입니다. 인식(consciousness)의 수준에 따라 좌우됩니다. |
GLTER에 대한 설명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다수의 대학, 연구실, 기업에서 이미 LabKM을 활용하여 개인이 아닌 조직의 지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LabKM 대표 구축 사례입니다.
|주|인실리코젠 브랜드마케팅실
![]() |
031-278-0061 |
![]() |
031-278-0062 |
![]() |
labkm@insilicogen.com |